피클플러스 구독권 종류 차이 총정리 | 1인권 vs 다인권, 공유형 vs 초대형

피클플러스의 구독권 종류별 차이와 파티장·파티원 개념을 한눈에 정리했어요.
이현주's avatar
Aug 22, 2025
피클플러스 구독권 종류 차이 총정리 | 1인권 vs 다인권, 공유형 vs 초대형

OTT, 멤버십, AI 생산성 프로그램, 교육 플랫폼 등..

다양한 구독 서비스를 저렴하면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용하고 싶었던 적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이번 글에 집중해 주세요.🧐

피클플러스는 여러 유료 서비스를 1/n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대한민국 1위 공동구독 플랫폼이에요.

그런데 ‘공동구독’이라고 해도 방식이 두 가지로 나뉘어요.

  • 1인권: 공동구매로 저렴하게 확보한 개인 전용 구독권

  • 다인권: 한 계정을 여러 명이 함께 쓰는 구조 (계정 공유형·초대형)

다인권은 다시 계정 공유형과 초대형으로 구분되는데, 이 개념을 처음 접하면 다소 헷갈릴 수 있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1인권과 다인권의 차이, 그리고 계정 공유형·초대형의 특징까지 차근차근 정리해 드릴게요!


1인권 (개인 전용 구독)

1인권은 오직 한 사람만 사용하는 개인 계정 전용 구독권이에요.

피클플러스에서 대량으로 이용권을 공동구매해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그만큼 더 저렴하게 제공하는 방식이라 가성비가 높죠.

무엇보다 본인 유튜브(구글)·스노우 계정에 프리미엄·VIP 구독권을 등록하는 방식이라, 기존에 쓰던 계정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답니다.

또한 1인권은 매일 한정 수량으로 선착순 특가로 제공되며, 수량이 소진되면 당일 구매가 불가능하니 원하는 서비스가 있다면 서둘러 신청하는 것이 좋아요.

현재 제공되는 1인권 서비스


다인권

하나의 계정을 최대 6명이 함께 이용하는 공동구독 방식이에요.

여러 명이 구독료를 나누어 내는 구조라 1인당 부담이 훨씬 적고, 넷플릭스·디즈니+·티빙 등 다양한 서비스를 경제적으로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다인권은 다시 ‘계정 공유형’‘초대형’ 두 가지로 나뉘며, 함께 구독하는 그룹을 ‘파티’라고 불러요.

파티에는 계정을 소유·관리하는 파티장과, 함께 이용하는 파티원이 있어요.

① 계정 공유형

계정 공유형은 파티장이 본인의 계정 ID와 비밀번호를 파티원에게 직접 공유하는 방식이에요.

모든 파티 구성원이 하나의 계정에 로그인해, 각자 자신의 프로필로 접속해 이용할 수 있답니다.

🔷 해당 서비스

웨이브, 왓챠, 라프텔, ChatGPT, (구)디즈니+

🔷 특징

  • 가입과 이용 절차가 비교적 간단해요.

  • 다만 하나의 계정을 여러 사람이 함께 쓰다 보니, 초대형 방식보다는 보안이 조금 떨어질 수 있어요.

  • (구)디즈니+는 추가 회원 제도가 적용되지 않은, 계정 공유 정책 변경 이전의 기존 파티예요. 추후 종료될 수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이용 역할: 파티장

  • 계정을 소유하고 직접 관리하는 주인이 파티장이에요.

  • 본인 계정을 피클플러스에 등록해 파티를 개설해요. (단, ChatGPT는 예외로 피클플러스에서 제공하는 계정을 사용해요.)

  • 이후 이용권을 먼저 직접 결제하고, 파티원들이 낸 이용료를 매달 자동으로 등록한 계좌로 정산받아요.

👥이용 역할: 파티원

  • 파티장이 등록한 계정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에요.

  • 피클플러스에서 한 달치 이용료를 결제하면, 파티장이 제공한 ID와 비밀번호를 받아 이용할 수 있어요.

  • 이후 계정에 로그인한 뒤, 자신의 프로필로 접속해 서비스를 이용하면 돼요.

② 초대형

초대형은 파티장이 파티원에게 초대장을 직접 보내는 방식이에요.

개인 계정을 공유하지 않아서 보안성이 높고, 파티원은 각자 계정으로 로그인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 해당 서비스

넷플릭스, 뉴-디즈니+, 티빙, 애플 뮤직, 애플 TV, 애플 ONE, 말해보카, 듀오링고,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MS365

🔷 특징

  • 계정을 직접 공유하지 않으니, 개인정보나 비밀번호 노출 위험이 적어요.

  • 그만큼 파티 개설 절차는 공유형보다 조금 더 복잡해요.

👑이용 역할: 파티장

  • 이용권 결제와 정산

    • 파티장은 먼저 본인 계정에서 해당 서비스의 이용권을 결제하고, 이후 파티원들이 낸 이용료가 매달 자동으로 파티장의 계좌로 정산돼요.

  • 초대 절차

    • 파티에 등록된 파티원의 이메일 주소로 초대장을 직접 보내야 해요.
      (단, 티빙은 예외로 피클플러스가 자동으로 초대 절차를 진행해줘요.)

👥이용 역할: 파티원

  • 이용 절차

    • 파티원은 한 달치 이용료를 피클플러스에서 결제해요.

    • 이후 파티장이 보낸 초대 메일을 수락하면, 각자 계정으로 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어요.

    • 피클플러스가 지정한 계정과 파티원 본인의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구분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 계정 유형 구분

    • 피클플러스 지정 계정 사용 넷플릭스, 뉴-디즈니+

    • 본인 계정 사용 네이버, 애플, 듀오링고, 말해보카, MS365, 티빙


구분

1인권

다인권 (계정 공유형)

다인권 (초대형)

이용 인원

1명 전용

최대 6명

최대 6명

계정 방식

본인 계정

파티장이 ID·PW 직접 공유

초대 메일 수락 후 이용

보안성

높음

낮음 (계정 정보 공유)

높음 (계정 미공유)

가입 절차

선착순 특가 구매

파티 가입 후 계정 정보 전달

초대 수락 후 본인 계정 접속

장점

독립적 사용, 선착순 특가

저렴한 가격, 가입 간편

보안성 높음, 각자 개별 계정 사용

대표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 스노우 VIP

웨이브, 왓챠, 라프텔, ChatGPT, (구)디즈니+

넷플릭스, 뉴-디즈니+, 티빙, 애플, 네이버, MS365

처음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번 정리를 참고하면 구독권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표로 한눈에 비교해 두었으니, 구독권을 고를 때 꼭 참고해 보세요.

안전하고 저렴하게 원하는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피클플러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Share article

주식회사 피클플러스